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ESG Talk
기업의 행동변화
Net Zero
인권과 노동
RE:Earth
글로벌 ESG+
News Agenda
ESG Talk
기업의 행동변화
Net Zero
인권과 노동
RE:Earth
글로벌 ESG+
News Agenda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ESG Talk
기업의 행동변화
Net Zero
인권과 노동
RE:Earth
글로벌 ESG+
News Agenda
회사소개
찾아오시는 길
언론윤리강령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글로벌 ESG+
글로벌 ESG+
다음
이전
글로벌 ESG+
플라스틱 가소제 분해능력 뛰어난 담수 미생물 5종 [Green Science]
편집자주=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은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현재 세계 곳곳에서는 이상기후로 인한 고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기후위기를 경고하는 대표적 지표인 온실가스 농도와 해수면 높이는 매년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중립을 위한 전 세계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지구 환경의 책임은 우리 모
노로라 기자
2022.12.25 12:32
글로벌 ESG+
배출권거래제 운영 국가들 간의 공유·협력 [RE:EARTH]
편집자주=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은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현재 세계 곳곳에서는 이상기후로 인한 고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기후위기를 경고하는 대표적 지표인 온실가스 농도와 해수면 높이는 매년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중립을 위한 전 세계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지구 환경의 책임은 우리 모
노로라 기자
2022.11.28 09:56
글로벌 ESG+
바이오가스 생산 증대시키는 미생물 4종 [Green Science]
편집자주=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은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현재 세계 곳곳에서는 이상기후로 인한 고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기후위기를 경고하는 대표적 지표인 온실가스 농도와 해수면 높이는 매년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중립을 위한 전 세계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지구 환경의 책임은 우리 모
노로라 기자
2022.11.25 10:02
글로벌 ESG+
길어지는 영산강·섬진강 유역 가뭄 [RE:EARTH]
편집자주=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은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현재 세계 곳곳에서는 이상기후로 인한 고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기후위기를 경고하는 대표적 지표인 온실가스 농도와 해수면 높이는 매년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중립을 위한 전 세계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지구 환경의 책임은 우리 모
노로라 기자
2022.11.22 10:17
글로벌 ESG+
겨우 첫발 뗀 기후변화 인한 ‘손실과 피해’ 대응 [RE:EARTH]
편집자주=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은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현재 세계 곳곳에서는 이상기후로 인한 고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기후위기를 경고하는 대표적 지표인 온실가스 농도와 해수면 높이는 매년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중립을 위한 전 세계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지구 환경의 책임은 우리 모
노로라 기자
2022.11.21 10:25
글로벌 ESG+
‘네이처-포지티브 Nature-positive’…세계 환경문제를 위해 [RE:EARTH]
편집자주=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은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현재 세계 곳곳에서는 이상기후로 인한 고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기후위기를 경고하는 대표적 지표인 온실가스 농도와 해수면 높이는 매년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중립을 위한 전 세계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지구 환경의 책임은 우리 모
노로라 기자
2022.10.13 09:01
글로벌 ESG+
플라스틱 분해하는 애벌레의 활약 [Green Science]
편집자주=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은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현재 세계 곳곳에서는 이상기후로 인한 고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기후위기를 경고하는 대표적 지표인 온실가스 농도와 해수면 높이는 매년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중립을 위한 전 세계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지구 환경의 책임은 우리 모
노로라 기자
2022.10.11 12:33
글로벌 ESG+
제주 지역 멸종위기 식물 13종, 한 자리에 [Green Science]
편집자주=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은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현재 세계 곳곳에서는 이상기후로 인한 고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기후위기를 경고하는 대표적 지표인 온실가스 농도와 해수면 높이는 매년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중립을 위한 전 세계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지구 환경의 책임은 우리 모
노로라 기자
2022.10.11 11:45
글로벌 ESG+
멸종위기종 유착나무돌산호(Dendrophyllia cribrosa)의 유전체 결과 [Green Science]
한국해양과학기술원(원장 김웅서, 이하 KIOST)은 독도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유착나무돌산호(Dendrophyllia cribrosa)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6일 KIOST는 이들의 유전체 크기는 625 Mb로 염색체는 14쌍이며, 유전자 수는 약 3만490개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노로라 기자
2022.10.08 16:18
글로벌 ESG+
긴배흰끝마디고치벌 등 자생생물 467종 신규 발견 [Green Science]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올해 1월부터 최근까지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을 통해 신종 163종과 미기록종 304종 등 총 467종을 발견했다고 28일 밝혔다.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은 2006년부터 곤충, 미생물 등 다양한 생물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생물들을 찾는 연구
노로라 기자
2022.09.28 15:06
글로벌 ESG+
동북아 지역 환경문제 개선 위해 한중 협력 [지금, 지구는]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중국 생태환경부(장관 황룬치우)와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제6차 한중 환경국장회의'를 화상회의 방식으로 열고, 미세먼지 저감 및 탄소중립 분야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28일 밝혔다.양국은 앞으로 5년간의 환경협력의 청사진을 담은 '제2차 한중 환경협력계획(2023~2027) 수립과 대기오염
노로라 기자
2022.09.28 14:57
글로벌 ESG+
기후와 생태계 위기 극복 위한 도전과 희망 [지금, 지구는]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와 극지연구소(소장 강성호)는 29일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에서 남극과학기지 월동연구대 발대식을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이번 발대식은 2020년 코로나19 유행 이후 처음으로 개최되는 대면 발대식으로, 송상근 해양수산부 차관 등이 참석해 세종과학기지 제36차 월동연구대(대장 진동민)와 장보고과학기
노로라 기자
2022.09.28 10:57
글로벌 ESG+
다가오는 미세먼지의 열풍, 나무심기로 예방하는 착한 도시들
다가오는 3월, 따뜻해지는 날씨에 들뜨기도 하지만 한 가지 고민거리가 있다. 바로 미세먼지다. 하지만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도시에서 각자의 노력을 하고 있다. 나무심기를 통해서인데, 나무는 한 그루의 나무는 연간 35.7g(에스프레소 1잔)의 미세먼지를, 1㏊의 숲은 경유차 27대가 일 년 동안 배출하는 미세먼지를
황미례 기자
2020.02.29 10:11
글로벌 ESG+
한·베트남 환경장관 회담…환경협력 위해 논의 [RE:EARTH]
환경부는 윤성규 환경부 장관과 응웬 밍 꽝(Nguyen Minh Quang) 베트남 자연자원환경부 장관이 제주시 도령로 롯데시티호텔제주에서 ‘제12차 한국-베트남 환경장관 회담’을 열고 양국의 환경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회담에서는 생물자원 활용 공동연구, 환경인력 양성 지원, 녹색기후기
노로라 기자
2015.10.22 09:41
글로벌 ESG+
일부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 시설, 토양오염우려기준 초과
환경부는 지난해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 시설에 대한 토양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8092곳의 시설 중 2.5%인 205곳의 시설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전국의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 시설은 2만 2039곳이며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라 토양오염도검사(정기․수시)를 받아야 한다. 지난해 검사
노로라 기자
2015.10.16 15:33
글로벌 ESG+
생물다양성의 요람…숨어있던 습지 274곳 [Green Science]
멸종위기종 가시연꽃 등 보전가치가 높은 생물이 서식하는 습지와 '절대보전'이 필요한 Ⅰ등급 습지가 다수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조사목적상 전국을 서해1, 서해4, 서해5, 충청1, 충청3, 동해2, 경상2 등 7개 소권역으로 구분해 내륙습지 현황을 2014년 1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한 결과, 274곳의 습지를 새로
노로라 기자
2015.10.12 11:57
글로벌 ESG+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이곳’ [Green Science]
전라남도 강진군의 탐진강이 생물다양성이 매우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국립환경과학원은 2004년부터 2014년까지 탐진강과 곤양천, 사천강, 남상천 등 남해안 11개 하구를 대상으로 하구역 생태계를 정밀 조사한 결과, 탐진강에 서식하는 생물종의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탐진강 하구
노로라 기자
2015.09.29 14:02
1
내용
내용